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0
분야
기타
연구과제명
환경친화적 산업단지 운영을 위한 중장기 대기오염 저감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김선태/대전대학교
연구기간
2001년 4월 ~ 2001년 10월(7개월)
참여 연구원수
8 명
연구사업비
10,000만원
연구목적
대전 및 충남에 위치하여 생산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산업단지의 경우에, 지방 및 국가산업단지를 포함하여 총 약 26개의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각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현황 및 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각 산업단지에서 배출되고 있는 대기오염물질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산업단지의 전반적인 대기오염물질 배출현황과 공간적인 분포 현황 등 대기환경의 특성을 반영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주요내용
본 연구에서는 Passive sampler를 사용하여 대전과 충남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26개의 산업단지 중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산업단지인 대전 1,2산업단지, 대전 3,4산업단지, 대산 및 장항공단, 그리고 천안공단 등 5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NO2, SO2, 그리고 VOCS 등을 매월 체계적이며, 장기적인 Monitoring을 진행하였다. 본 방법은 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방법으로, 측정지점은 각 산업단지별로 NO2, SO2 각 10개 지점, 그리고 VOCS 5개 지점으로 정기적으로 매월 총 약 50개 지점에서 약 7개월 동안 측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활용
현재 대전*충남 지역에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망이 단지 7개 지역에서만이 운영되고 있을 뿐이며, 이에 각 산업단지에서 배출되고 있는 대기오염물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충남 서해안에 위치한 대산, 장항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 및 산성비 등 대륙규모의 오염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Passive sampler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효용성이 우수한 측정방법이며, 본 기술의 발전은 전국에 산재되어 운영되고 있는 각 지역의 산업단지 관리 방안의 수립 및 원천자료 확보와 더 나아가서 전국을 자동측정망과 연계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체계적으로 Monitoring할 수 있는 방안 마련 및 국내 대기오염물질 측정체계의 확립과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구축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