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0
분야
기타
연구과제명
대전시 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기술개발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강 호/충남대학교
연구기간
2001년 4월 ~ 2001년 10월 (7개월)
참여 연구원수
3 명
연구사업비
12,500만원
연구목적
현재까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는 주로 매립에 의존해 왔으나 2005년부터는 직매립이 금지되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처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13-
존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의 여유용적을 활용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통합소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제반영향인자를 고찰하는 한편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대안인 퇴비화 공정의 영향인자를 검토하므로써 통합소화와 퇴비화 복합공정의 타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주요내용
1)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현황 및 환경시설평가
- 대전시 음식물 쓰레기 발생현황 조사
- 음식물 쓰레기의 물리?화학적 특성조사
- 하수종말 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 현황 파악

2)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시 영향인자 및 적정조건 검토
-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에 관한 기초자료조사
- 대전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타당성 검토

3)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의 혼합비 및 HRT가 통합소화효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 Continuously Mixed & Semi-Fed Reacto(CMSFR)의 운영
-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이 통합소화효율에 치는 영향평가
- 하수 슬러지/음식물 쓰레기 혼합비가 통합소화효율에 치는 영향평가
-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의 최종생분해도 평가
연구결과 활용
1)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를 통합소화함으로써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341.2ton/day로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양의 100% 이상을 처리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이는 점진적으로 매립장내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을것이다.

2) 음식물 쓰레기 1ton 처리시 중유 69kg의 대체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대전시 하수종말 처리장에 적용시 1일 중유 27ton을 생산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미래에도 대전시의 하수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설계한다면 효율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