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1
- 분야
- 조사연구
- 연구과제명
- 지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미생물학적 기준연구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황경숙/목원대학교
- 연구기간
- 2002년 3월 1일 ~ 2003년 2월 28일 (12개월)
- 참여 연구원수
- 7 명
- 연구사업비
- 15,000만원
- 연구목적
- 지금까지 수질오염의 미생물학적 검사는 주로 분변성 장내세균을 측정하여 왔다. 이는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장균과 같은 분변성 오염의 지표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깨끗한 물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태계 특성상 제한된 인자에만 의존하는 수질평과 결과는 정확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수질오염은 그 속에 서식하는 생물체의 서식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하수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포 및 종 조성을 폭넓게 조사하여 그 변화에 따라 수질오염을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물리화학적 분석에 의한 평가보다 훨씬 근본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지하수의 음용 가능성과 관련한 미생물학적 검사에 있어서는,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의 존재와 분포를 조사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지하수 오염여부에 관하여 보다 정밀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 종속영양미생물의 분포와 생태를 조사하는 것보다는 지하수와 같이 빈영양 환경 중에서 생존하는 저영양세균에 대하여 조사하는 편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지하수내 저영양세균의 정량적 평가와 더불어 세균학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지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미생물학적 기준을 보다 종합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으리라 믿는다.
- 주요내용
- - 지하수 시료채취
대전/충남지역에 산재한 지하수원 및 농축산폐기물, 관정, 폐공 등에 의해 오염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부터 지하수를 채취.
- 저영양성세균 (oligotrophic bacteria)의 정량적 평가 및 분리
저영양배지를 사용하여 DVC법과 평판법으로 지하수내 저영양세균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함. 저영양배지로부터 분리된 세균중 약 1ppmC/ℓ농도의 에서 증식 가능한 세균을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으로 판정하고 분리?배양 함.
-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분리된 저영양세균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밝힘
- 연구결과 활용
- - 지하수 중의 토착미생물(저영양세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지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미생물학적 기준을 새로이 정립할 수 있음.
- 분변성 세균에 의한 오염실태 뿐만 아니라, 저영양성미생물에 의한 오염실태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합적인 지하수 수질관리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음.
- 지하수의 미생물학적 수질검사의 항목과 표준적인 검사방법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