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2
분야
환경정책연구
연구과제명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대전광역시 수도시설의 진단 의사결정 시스템 구성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이범희/배재대학교
연구기간
002년 4월 1일 ~ 2003년 2월 28일(11개월)
참여 연구원수
1 명
연구사업비
15,000만원
연구목적
수도시설과 관망의 노후화는 이의 효율적인 시설 교체, 혹은 보완, 유지에 관한 연구가 국 내ㆍ외적으로 매우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으나 다양한 자료의 필요성 및 장기적 관측의 필요성 등으로 인하여 그 진행정도는 원칙적인 수준 혹은 기초 요인들의 파악 정도의 과정에 머무르고 있어 이를 실무적인 관리차원까지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고, 악화 원인의 파악과 중요성, 국내ㆍ외 상수 관로의 진단 및 평가 방안, 관련 경제성 요인들의 파악과 적용 방법들을 정리하여 개량 우선순위의 결정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본 시스템의 구성방향으로 접근하여 대전광역시 상수관망의 현황 및 특성에 평가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최적화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전광역시 관로망 개선 정책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내용
대전광역시 정도 규모의 도시개발에 따른 상수도 시설 계획 지원 프로그램 개발은 실무 담당자들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바, 이의 기본 구성과 표준 유역 적용을 통하여 이 기법의 적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결과는 추 후 개발될 NGIS 사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대ㆍ중규모 도시의 시설 관리 및 진단 방안의 표준화, 수도 급수시설 관리 규칙의 최적화 요인 도출 및 기술진단 방안의 제시, 시설의 보완 및 교체ㆍ관리를 위한 표준 요인의 도출, 최적화 기법 및 의사결정 시스템의 구성을 통한 경제성 향상 및 안전성 확보 등의 연구를 통하여, 시설 관리자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응용적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수도시설에 대한 실무적인 관리를 위하여 최적 진단 의사결정 시스템을 구성하고, 특히, 대전광역시 정도의 중규모 도시개발에 따른 상수도 시설 계획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정책의 제안은 실무 담당자들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하였다.
연구결과 활용
- 중규모 도시에서 시설 관리 및 진단 방안의 표준화
- 수도 시설 관리 규칙의 최적화 요인 도출 및 기술진단 방안의 제시
- 시설의 관리를 위한 표준 요인의 도출로 경제성 향상 및 안전성 확보
- 시설 관리자의 업무 효율화를 위한 응용적 연구
- 상수 관로의 악화 원인 및 진단, 평가 방법 제시
-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교체, 보완 방안의 제시
- 경제성 평가 및 우선순위의 결정방법
- 기존의 상수관망 노후도 예측 방법의 비교
- 노후 인자 및 항목별 특성의 분석
- 최적화 및 의사결정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