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3
- 분야
- 환경정책연구
- 연구과제명
- 대전ㆍ충남지역 오일함유 폐수처리에 적합한 Clay 응집제의 합성 및 응집특성 연구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류병로/한밭대학교
- 연구기간
- 2003년 4월 ~ 2004년 2월 (11개월)
- 참여 연구원수
- 7 명
- 연구사업비
- 20,000만원
- 연구목적
- 오일 함유 생활 오수가 정화조로 유입될 경우, 정화조의 생물학적 정화력은 그 기능을 상실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폐수의 배출 특성을 보면, 합성세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중금속 성분의 제거 효율 역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자칫 폐부동액 및 폐오일이 혼입될 수 있어 그 처리가 쉽지 않다. 특히, 배출허용기준과 관련하여 “나”지역 이상의 경우, SS 나 n-hexane 추출물 항목이 초과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n-hexane 추출물 및 중금속을 잘 흡착할 수 있는 점토광물질에 응집기능을 부여한 새로운 형태의 응집제를 개발하고, 이를 오일 함유 폐수에 대한 적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대전·충남지역 중·소 환경시설의 오일 함유폐수 정화성능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주요내용
- 1. 대전지역 세차장 유입 수질의 발생량 및 성상 분석
세차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소규모 배출원으로부터 발생되며, 폐수 발생량 및 성상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잠재적인 수질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폐수에 포함된 합성세제는 오일의 유화 및 분산작용으로 처리효율을 감소시키고, 폐부동액이나 폐오일이 혼입될 경우 처리가 쉽지 않아 기존 처리시설에서 SS나 n-hexane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배출될 우려가 높다. 또한 세차장 폐수는 운영 목적과 세차 방법에 따라 폐수 발생량과 성상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세차장의 종류에 따른 폐수의 발생량과 성상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 연구결과 활용
- 2. Al 및 Fe modified clay 응집제의 합성 및 물성조사
(1) Al/Fe계 무기고분자 응집제의 합성 및 물성조사
① Al/Fe계 무기고분자 응집제의 합성
② Ferron법에 의한 Al/Fe계 무기고분자 응집제의 화학종 분포조사 및 최적 합성 조건의 도출
2.2 Al/Fe(III)계 modified clay 응집제의 제조 및 물성조사
① Al/Fe(III)계 modified clay 응집제의 제조
② Al/Fe(III)계 modified clay 응집제의 물성조사
3. 오일 함유 폐수에 대한 응집 특성 및 효율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