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0
- 분야
- 기타
- 연구과제명
- 대전광역시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에 대한 수질특성도 작성 및 수질개선방법 연구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정찬호/대전대학교
- 연구기간
- 2001년 4월 ~ 2001년 10월 (7개월)
- 참여 연구원수
- 3 명
- 연구사업비
- 10,000만원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분포하는 국가 비상시 대체 수자원인 민방위 비상용지하수의 수질특성 및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Data Base를 구축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질특성도를 작성하여 오염 원인별 지하수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주요내용
- 대전광역시에 분포하는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는 2000년 기준으로 총 249개소가 확보되어 있고 확보된 수량은 약 55,955톤/일이고, 소요수량은 35,425톤/일이다. 총 소요량에 대한 지하수 확보율은 158%로 충분한 양을 확보하고 있다. 수질분석건수는 598건으로 그 중 음용수 적합이 380건 부적합이 218건으로 부적합율이 36.5%를 차지하였다. 대장균과 일반세균등 세균류가 가장 많은 부적합 요인이고, 그 다음으로 질산성질소, 탁도, 색도, 철, 망간, 불소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리화학적 특성으로는 지하수의 평균 pH가 6.56으로 약산성을 보이고, 전기전도도는 52-1310μS/cm의 범위를 보인다. 그리고 수리화학적 유형은 Ca-HCO3에서 Ca-Cl(SO4+NO3)유형으로 넓은 범위를 보인다. 수리화학적 특성으로 볼 때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의 상당부분은 오염에 노출되어 잇는 상태이다. 특히 동구와 중구 등의 구도심권의 지하수 수질은 상당히 악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지하수 오염특성별로 보면 대장균과 일반세균류에 의한 오염과 질산성질소의 오염, 탁도와 색도에 의한 오염, 철과 망간에 의한 오염, 그리고 불소와 우라늄에 의한 수질오염등으로 크게 구분이 된다.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양수정의 우물자재를 밀봉형으로 교체하고, 오염원의 제거, 그라우팅 강화, 정수장치등을 하여야할 것이다.
- 연구결과 활용
- 본 연구과제는 단기간에 일회성의 연구에 의해서는 의미가 없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전광역시 민방위 비상용 지하수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한 관-학 연계체계를 확실하게 갖추어 지속적으로 수질관리가 이루어 대전광역시와 5개 구청에서 이루어져야한다. 당국의 수질 적합 부적합의 관리차원을 넘어 부적합 지하수를 적합한 지하수로 수질개선방안을 모색해야하고, 적합한 지하수는 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양질의 지하수가 공급되도록 관리의 개념이 바뀌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