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3
- 분야
- 환경정책연구
- 연구과제명
- 대전광역시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수립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이범희/배재대학교
- 연구기간
- 2003년 4월 ~ 2004년 2월 (11개월)
- 참여 연구원수
- 12 명
- 연구사업비
- 40,000만원
- 연구목적
- 2011년을 목표로 대전시의 중-단기적 용수 수요를 예측하고 체계적이며, 안정적인 용수공급 방안을 수립하고 물수요 관리 종합계획에 의거하여 수도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물의 수요관리를 강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누수량의 과대 및 배수시설 미비 등 만족할 만한 급수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현실을 통하여 대전광역시 1인당 적정 물 사용량 등을 고려한 구별 물수요 관리 목표를 결정한다.
장래 도시개발에 따른 용수요의 증대 및 생활수준의 향상 등을 고려한 물수요 관리 목표에 따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종합적 계획의 수립하고자 하며, 정부에서도 상수도의 중요성과 인구의 급증, 산업의 발전, 급격한 용수 수요의 증가에 따른 급수문제의 근본 해결을 위한 상수도 관련 사업의 개선과 규모 확대에 행정상의 중요성을 고려하고, [보다 더 풍부하게], [보다 더 저렴하게]라는 목표를 위하여 상하수국을 상수도 사업본부로 개편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들을 볼 때, 수도에 관한 정책의 우선순위를 물 수요관리에 두고 종합적으로 시행함으로써 국가의 물 부족 사태를 미리 예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물수요 관리 정책에 관한 기술적, 정책적, 경제적 분석을 통하여 각종 방안들의 특성 및 시행목표, 우선순위에 대한 제안을 정리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 주요내용
- 물 수요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대전광역시 구별로 지역 특성에 맞는 물수요 관리 목표를 설정하고 수돗물의 용도별 사용량 조사, 물수요 관리 목표 설정 등 추진 가능한 정책 수단을 분석ㆍ평가하여 사업우선 순위를 결정하도록 하되, 기존의 자료 및 정책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장래의 물수요 변화 요인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사업을 추진하였다.
가) 물수요 관리 추진 계획의 설정을 위한 자료의 수집 및 검토
나) 물 수요 관리 방안의 제안 및 정책 제시
다) 물수요 관리에 대한 추진 성과 평가체계 제시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 추진 체계는 크게 5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즉, 관련 전공별로 팀을 구성하여
⑴ 기본 방향 수립과 기초조사 및 현황 파악, ⑵ 관리 목표 설정 및 수자원 확보, ⑶ 수요 예측 및 정책 제안을 통한 수요 관리 목표 추진 계획의 제안, ⑷ 수도요금 체계 및 교육 홍보와 평가, ⑸ 재정 계획 등으로 크게 구분하고, 이를 통합하여 작업을 완수하였다.
- 연구결과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