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3
분야
조사연구
연구과제명
지하수 내 배양불능세균의 쾌속 검출법 연구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황경숙/목원대학교
연구기간
2003년 4월 ~ 2004년 2월 (11개월)
참여 연구원수
4 명
연구사업비
14,000만원
연구목적
수질오염은 그 속에 서식하는 생물체의 서식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하수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분포 및 조성을 폭넓게 조사하여 그 변화에 따라 수질오염을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물리화학적 분석에 의한 평가보다 훨씬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배양이 곤란하여 그 존재여부의 판정조차 불확실한 VBNC(viable but non-culturable) 미생물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고 그 위험성도 전혀 해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연구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중에 다수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배양불능(VBNC)세균을 정확하게 검출해 낼 방법을 탐구하기 위해 종래의 실험방법과는 구별되는 형광생체염색법을 활용하여 보다 적확하고 쾌속한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내용
1. VBNC (viable but non-culturable)세균의 쾌속 검출법 개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 개발되고 있는 형광생체염색법을 이용하여 지하수내 배양불능세균(VBNC)을 쾌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함.
(1) DVC (direct viable count)법의 검토
지하수라는 빈영양 환경 중에 분포하는 미생물에 DVC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을 조사하여 방법을 구축함.
(2) CFDA (6-carboxyl fluorescein diacetate) 형광염색법의 검토
살아있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염색되는 CFDA 형광염색법을 지하수 시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염색액의 농도와 염색시간을 검토함.
(3) CTC (5-cyano 2,3-ditoryl tetrazolium chloride) 환원법의 검토
CTC 생체염색법이 지하수내 생균수 측정에 적합한가 여부를 검토함.
2. 지하수내 VBNC(viable but non-culturable)세균의 정량적 평가
(1) 지하수(음용수) 시료채취
대전광역시 5개구(중구, 서구, 동구, 유성구, 대덕구)에 산재한 지하수원(약수) 15개 지역과 농축산폐기물, 관정 등에 의해 오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충남 청양군의 6개 지역으로부터 지하수를 채취함.
(2) 직접 검경법에 의한 VBNC세균의 정량적 평가
지하수내 배양불능(VBNC)세균의 쾌속 검출을 위해 상기에서 검토된 DVC방법과 CFDA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지하수내 배양불능(VBNC) 세균의 정량적 검출을 수행함.
(3) 평판법을 이용한 생균수 측정
음용 지하수의 세균검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평판법을 이용하여 지하수내 배양 가능한 세균수를 측정함.
연구결과 활용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