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6
분야
조사연구
연구과제명
조류 이취미 관점에서 대청댐 역조정지 원수의 수질평가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배병욱 교수/대전대
연구기간
2006. 4 ~ 2007. 2(11개월)
참여 연구원수
5 명
연구사업비
23,000만원
연구목적
중부권 최대의 상수원인 대청댐 원수에서는 1980년대부터 조류 이취미가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90년대 초반에는 많은 민원이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청댐 광역상수도 Ⅱ단계사업을 주관한 한국수자원공사는 조류 이취미 문제에 대응하고자 대청댐 하류 역조정지에 새로운 취수장을 건설하였다. 또한, 최근에 신설된 대전광역시 석봉정수장의 경우에도 역조정지 원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청댐 광역상수도 Ⅱ단계사업 취수원 수질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역조정지에 존재하는 원수의 이취미 강도는 댐 내부에 비해 양호하다. 이는 역조정지에 존재하는 물이 수심이 깊은 발전 방류구를 통해 빠져나온 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수질조사 보고서가 작성될 당시에는 조류 이취미를 TON(threshold odor number)이라는 관능법으로 측정하였는데, 이 방법으로는 이취미의 정성적인 분석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신 기기분석법과 이취미의 종류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관능분석법으로 대청댐 역조정지 내 원수의 이취미 발생특성을 분석하고, 수돗물 이취미와 관련된 지역민원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내용
국내 여타 다목적댐과 마찬가지로 중부권 최대의 상수원인 대청댐 내부 원수도 지속적인 조류 이취미 문제를 겪고 있다. 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공학적인 대안으로 대청댐 하류 역조정지에 두 곳의 취수장이 건설되었고, 상대적으로 이취미 강도가 낮은 역조정지 물을 정수장 원수로 사용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신 기기분석법과 새로운 관능분석법을 이용하여 역조정지 내 원수의 조류 이취미 발생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청댐 내부 원수와 역조정지 원수의 이취미 발생특성 비교
이취미 발생기를 포함한 전체 연구기간 동안에 대전광역시 추동취수탑 부근의 원수와 역조정지 내 원수를 채취하여, 각각의 이취미 강도를 GC/MS를 이용한 기기분석과 최근에 발표된 새로운 관능법인 2-out-5-odor test로 비교한다. 또한, 각 원수의 pH, DO, 탁도, 온도, Chl-a, 조류 개체수 및 우점종을 조사한다. 이들 데이터는 두 원수에 존재하는 조류 이취미의 상대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조류 이취미 조기경보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조류 이취미 물질의 존재특성 분석
남조류가 대표적인 이취미 유발 미생물이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조류 세포와 관련된 조류 이취미 물질을 “남조류 세포에 의해 수중에 방출된 부분”, “세포 원형질 내에 자유롭게 존재하거나 세포 기관에 약하게 결합되어 존재하는 부분”, 그리고 “세포 단백질에 강하게 결합되어 존재하는 부분”으로 분할하여 정량화 하고자 한다. 수중에 존재하는 이취미 물질이 전체 이취미 물질 중에서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정수장 운영자가 이취미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남조류 세포와 결합되어 존재하는 이취미 물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전염소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중염소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침전지에서 조류세포가 파괴되어 세포 내에 존재하던 이취미 물질이 수중으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도수과정에서의 이취미 물질 거동분석
대청댐 역조정지 원수는 대청댐 광역상수도 Ⅱ단계사업에 의해 건설된 천안정수장과 아산정수장까지 도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수 시점의 원수에 존재하던 이취미 물질과 조류 우점종이 장거리의 도수관을 유하하는 동안에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취수장에서 투입되는 전염소가 도수관을 유하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조류 이취미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활용
대청댐 역조정지 원수의 이취미 발생특성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정수장 운영자가 조류 이취미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곧 대전 충남지역의 수돗물 이취미와 관련된 민원해결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