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6
- 분야
- 조사연구
- 연구과제명
- 대전광역시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적지분석 및 인공습지 시범구상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유병로 교수/한밭대
- 연구기간
- 2006. 4 ~ 2007. 2(11개월)
- 참여 연구원수
- 9 명
- 연구사업비
- 43,000만원
- 연구목적
- 1. 대전광역시의 수질오염원은 대부분 도시지역의 생활하수로 대부분 하수관거 및 차집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에 이송되어 처리 후 갑천하류에 방류된다. 최근 처리시설의 확충으로 생활하수 등 점오염원 관리는 잘 이루어지고 있어 상류지역의 농경지 및 도시지역의 강우 유출수, 하수처리장의 처리수 등 토지계 오염원의 비점오염원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청호 수변구역의 경우 정화조 및 오수처리시설 설치로 점오염원 관리는 잘 이루어 지고 있으나 농경지 및 산림지역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크다.
2. 따라서 3대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고 수질오염 총량관리의 목표달성을 위하여는 비점오염원의 처리가 시급하다.
3. 본 연구는 대전 3대하천 수변구역의 비점오염원 발생특성, 수질오염 기여도 분석, 처리시설의 설치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저감시설의 적지를 분석제시 하고 시범 인공습지 기본구상을 계획하여 연구성과를 조기에 시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 마련이 시급하다.
- 주요내용
- 1. 3대하천 유역의 비점오염원 특성 기초조사
- 비점오염원 발생원 및 발생특성 조사분석
- 상세 배수구역설정 및 유역 유출구조 분석
- 환경 기초 현황 및 오염원 분석 방법 결정
- 대전 3대하천 수변구역의 오염원 분포특성 기존조사연구 자료 조사분석
- 대전지방의 강우특성 및 수문특성 해석
- 토지용도별 오염원 배출특성 원단위 자료분석
2. 강우 및 청천시 대표지점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 조사
- 3대하천의 비점오염원의 분포 조사 분석
- 청천시 수질 및 유량조사
- 강우시 초기우수의 수질 및 유량조사
- 강우별 오염물질(BOD, COD, SS, TN, TP)별 원단위 산정 모델식 산정
- 최근 3년간 주요배출원의 월별 및 연간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3. 주요환경시설 배출수의 특성분석
-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 주요 처리시설의 배출수 특성분석
4. 오염총량관리 목표지점(갑천A)의 기여도 분석
- 하천의 수질모델링 모형구축 및 보정
- 배수구역별 유달율 분석
- 주요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도 기여도 평가
- 수질모델링에 의한 오염원별 하천구역별 오염기여도 산출
- 최적화기법에 의한 비점오염원 최적 관리목표 산정
5. 비점오염원 삭감기술조사 및 분석
- 오염기여도가 높은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삭감을 위한 기술분석
- 주요기술별 입지조건 및 특성 분석
- 자연형 처리기술 조사
- 장치형 처리기술 조사
6. 주요비점오염원 처리 및l 저감시설 적지분석
- 비점원 오염원 및 영향요소 조사분석
- 환경 기초조사 모형체계 구축
- 수치지도 정리
- 지형도, 토지이용도, 지질도, 토지 피복도, 토지 적성평가도 등
- 입지분석 및 적지 선정
7. 수질개선 효과 분석
- 수질 및 유량 모니터링 계획
- 수질개선효과 평가계획
8. 활용 및 운영 방안 제시
- 적지분석 연구결과의 활용방법 및 방안 제시
9. 갑천변에 인공습지 기본구상 예시분석
- 적지분석 결과를 토대로 갑천변에 홍수조절기능,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인공습지공원에 대한 시범시업으로 기본구상을 수립
- 연구결과 활용
- 1. 비점오염원의 발생원, 발생특성 및 발생량 현황 및 장래예측 결과를 비점오염원 관리계획 수립 시 활용
2. 수계 오염총량관리 목표지점의 수질오염 기여도 산정
3. 처리 및 저감시설의 적지분석과 사업 우선순위 제시를 통한 비점관리사업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
4.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의 오염물 저감 및 삭감시설 설치 기초자료로 활용
5. 유역의 비점오염원(농경지, 산지, 시가화지역)의 유역 관리정책 수립
6. 갑천변에 홍수조절지 및 수질정화기능이 있는 인공습지 기본계획수립 기초자료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