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6
분야
조사연구
연구과제명
대전의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병원균 지표미생물 부하량 조사분석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김건하 교수/한남대
연구기간
2006. 4 ~ 2007. 2(11개월)
참여 연구원수
5 명
연구사업비
23,000만원
연구목적
대전은 넓은 행정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농지도 상당수 존재하는 등 다양한 비점원을 가지고 있다. 수원의 원생동물 검출 등 근래에 들어 하천수의 미생물학적인 지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대전천, 유등천, 갑천 등 3대 하천이 도심을 관통하여 흐르고 있는 대전의 경우에는 특히 더욱 중요하다. 병원균 지표미생물의 하나로써 대장균군 농도는 수질기준에 포함되어 있으나 자료의 부족으로 수질의 평가 시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공공의 보건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지표이며, 이는 WHO 및 다른 외국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야, 농지, 도시 등에서 발생하는 강우 유출수 및 하천의 병원균 지시미생물인 대장균군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오염물질의 부하량을 추정하고 그 영향에 대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
주요내용
대전지역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병원균 지표미생물 부하량을 조사분석에 필요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문헌 연구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병원균 지표미생물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조사를 통하여 국내, 국외의 미생물학적 오염의 규제를 파악한다.

2. 시료채취지점의 선정
토지이용을 대표할 수 있는 임야지역, 농지지역, 도시지역을 선정하며 시료채취유역의 특성을 GIS 및 실제계측을 통하여 특성화한다. 도시지역은 비점원 형태로 배출되는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를 측정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한다. 하천의 수질을 모니터링하여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입이 수질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천수 수질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한다.

3. 시료의 채취 분석
대전시 권역내 농지, 임야,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를 채취하여 병원균 지표미생물의 농도를 조사한다. 건조시의 농도 또한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강우유출수가 유입하는 하천의 농도를 모니터링 한다. 병원균 지표미생물 항목은 현재 환경부 수질측정망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총대장균 및 총 대장균군을 대상으로 한다. 탁도, 부유물질, 온도 등 미생물의 사멸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같이 측정하여 저감대책의 도출에 사용한다. 강우 유출수는 강우 사상당 15개 시료 이상 채취하여 오염물질의 유출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유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작성한다. 청천 시 및 강우 시 하천의 수질을 측정하여 비점원이 미생물학적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4. 자료의 분석
수질 항목별 Hydrograph 및 pollutograph를 작성하며 EMC (Event Mean Concentration)를 산출하여 강우에 따른 오염물질의 발생크기를 제시한다.
오염물질의 특성화를 위하여 수질자료 및 EMC 자료를 통계처리하며 영향인자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오염물질 저감 방안을 도출한다.

5. 보고서 작성
연구결과 활용
본 제안과제는 생태하천으로의 복원을 시도하고 있는 대전의 3대하천의 수질평가를 위하여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는 조사연구이다. 다양한 비점원에서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오염물질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여 비점원에서 발생원 및 그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