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6
분야
조사연구
연구과제명
CCT-ICP-MS를 이용한 대전 도로변 지역의 대기 중 독성 금속의 특성 조사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이진홍 교수/충남대
연구기간
2006. 4 ~ 2007. 2(11개월)
참여 연구원수
4 명
연구사업비
20,000만원
연구목적
1. 최근 개발된 CCT(Collision cell technology)는 polyatomic spectral interference를 대부분 제거 시켜 검출한계와 바탕값(BEC: Background Equivalent Concentration)을 크게 낮추는 기술임
2. CCT-ICP-MS를 이용한 대전 도로변 지역의 대기 중 독성 금속의 특성에 대한 최초의 조사연구
3. CCT-ICP-MS 분석의 정도 관리 (QA/QC)
4. 대전 도로변 PM 2.5 및 독성 금속의 노출에 따른 인체 피해의 최소화
주요내용
1. 국내는 말할 것도 없고 국외에서도 아직까지 미세분진 내 인체발암금속인 As과 Cr의 정량분석에 적용된 사례를 찾기가 어렵지만, 가장 큰 polyatomic spectral interference을 갖고 있는 As, Cr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CCT-ICP-MS의 적용은 필수적임

2. 더욱이, 국내 도시대기 중 As과 Cr의 호흡으로 인한 발암 위해도는 호흡 시 독성 금속으로 인한 총 위해도의 90% 이상을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의 정확한 분석은 대단히 시급함

3.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서 대기시료 특히, 인체위해성이 큰 PM2.5에 대한 CCT-ICP-MS의 최초 적용에 의한 분진 특성에 대한 연구임

4. 가장 교통량이 많은 대전 도로변 지역에서 2차(약 30일/차, 24시간/일)에 걸쳐 PM 2.5의 집중적인 채취

5. CCT-ICP-MS를 이용하여 As, Be, Cr, Cd, Ni, Mn, Se를 포함한 20여종의 독성금속에 대한 정량분석

6. CCT-ICP-MS 분석 정확도 평가

7. 독성 금속의 농도준위, 부화계수를 비롯한 제반 특성을 파악

8. GC-MS를 이용하여 PM2.5내 이온성분(sulfate, nitrate 등) 분석

9. 인자분석을 이용한 대전 도로변 지역의 오염원 평가
연구결과 활용
1. 대전시의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분석 신뢰도가 보장된 기초 자료로 활용
2. 인체 위해도가 큰 독성 금속의 도출 및 저감 방안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3. 시민의 미세분진 및 독성 금속의 위해성에 대한 인식의 편이성 제고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