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

Daejeon Green Environment Center

년도
2006
분야
산학연협력연구
연구과제명
호흡률 측정 및 SS 입도 분석에 의한 SMMIAR 공정 내 물질거동 분석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책임자/기관
이상민 교수/공주대
연구기간
2006. 4 ~ 2007. 2(11개월)
참여 연구원수
4 명
연구사업비
23,000만원
연구목적
1. SMMIAR 공정의 고도처리 메카니즘의 불분명한 규명
2. 일반 하수처리 공정과 SMMIAR 공정의 유기물 및 현탁성 물질의 거동 분석
3. 처리방식과 기질에 따른 제거 대상물질의 공정별 공간 분포와 제거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
4. SMMIAR 공정의 유기물과 질소 ․ 인 제거 기작을 규명
5. SMMIAR 공정의 운전 방법 개선 및 처리효율 제고를 위한 개선책 제시
주요내용
1. 일반 하수처리 공정과 SMMIAR 공정의 유기물 성상별 변화 분석
(1) 새로운 유기물 성상 구분 방법을 동원
(2) 실험실 규모의 호흡률 측정기를 운전
(3) Particle size analyzer등의 첨단장비 활용
(4) 대상 플랜트 : 공주 하수 처리장 및 연기군 마을 하수처리장 (SMMIAR)

2. 제거 대상물질의 공정별 공간 분포와 제거 특성의 정량적 해석으로
SMMIAR 공정의 메카니즘 규명
(1) 공정별 질소, 인, 유기물 분석 및 자료의 통계 처리
(2) 영양물질 제거 공정에서 질소와 인 및 성상별 유기물의 상관관계 해석
(3) 성상별 유기물 구분 및 입자성 물질의 거동 평가
(4) 바이오 휠의 깊이별 DO 및 pH 측정
(5) 처리 시스템의 기질조성과 농도변화에 대한 처리 성능의 예측 ․ 평가
(6) SMMIAR 공정의 운전 방법 개선 및 처리 효율의 개선책 제시
연구결과 활용
1. 국내 질소 ․ 인의 동시 제거기술 발전과 새로운 유기물 분석 기법을 통한SMMIAR 생물 반응조의 반응 기작을 명확히 규명
2. SMMIAR 공정의 운전 방법 개선 및 처리 효율의 개선책 제시
3. 산업시장에서 SMMAIR 공정의 경쟁력 강화에 활용
4. 처리 시스템의 기질조성과 농도변화에 대한 처리 성능의 예측 ․ 평가
5. 국내 하수의 유기물 성상 및 처리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