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제
- 년도
- 2006
- 분야
- 산학연협력연구
- 연구과제명
- 대전시 분류식 우수관거의 초기 강우 시 오염부하 저감방안
- 첨부파일
-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 책임자/기관
- 임봉수 교수/대전대
- 연구기간
- 2006. 4 ~ 2007. 2 (11개월)
- 참여 연구원수
- 7 명
- 연구사업비
- 23,000만원
- 연구목적
- 대전시가 2006년도부터 하수관거 BTL사업이 3000억원이 투자되어 점진적으로 추진되는데, 분류식 하수관거에서 우수와 오수를 완전 분리하여 우수만 하천으로 유출시키는 것은 불가능함.
- 수계 수질 목표달성을 위해 분류식 하수관거 초기강우시 월류수(SSO)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매우 미약함.
-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접 및 비점오염원에 인한 퇴적물 특성 조사
- 우오수분리벽이 분류식 우수관거내에서 SSO 오염부하 저감효과 평가
- 주요내용
- 1. 분류식 우수관거의 월류수 특성조사
(1) 대전시내에 주요 분류식 대상지역을 몇 개 선정하여 갈수시의 수질과 유량을 파악하고 초기 강우시 월류수의 수질 유량을 조사하여 월류수의 특성을 조사하며, 강우량을 실측하여 강우량에 따른 대전시의 월류수 부하에 대한 상관관계를 도출함.
(2)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에 비해 분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가 하천의 오염에 기여하는 비율을 도출하여 오접이 되어 있는 지역에서 우수관거의 우오수분리벽의 설치효과을 평가함.
2. 우수관거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배출원 및 성상 조사
(1) 현재 대전시 분류식지역은 오수하수관거의 오접으로 인해 오수가 유입되어 토구에 우수토실을 설치하여 찻집 관거에 유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갈수 시 퇴적물이 누적되며, 관거가 우수량에 의해 설계되어 유속저감으로 인한 퇴적량이 증가할 수 있다. 분류식 하수관거의 퇴적량과 주요 성상을 분석함.
3. 우수관거 내 당회사의 우오수분리벽 설치에 따른 오염물질 제어효과 검토
(1) 우수관거 내 우오수분리벽을 설치하면, 오수의 우속이 빨라지어 퇴적물이 누적되는 효과가 저하되므로 이에 따른 적정 이격 간격을 결정하여 설계시 반영함.
(2) 적정 이격간격 운영 시 초기 강우에 월류수에 해당하는 오염물질 제어 효과을 평가함(주요 수질오염물질은 BOD, COD, SS, TN, TP, 대장균 둥을 분석함)
4. 기존 우수관거내 설치된 콘크리트 웨어와 우오수분리벽의 효과 분석
(1) 기존 우수관거에 오수가 하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웨어로 설치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우오수분리벽 설치할 경우 초기 강우시 오염부 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하며, 이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여 당사의 우오수 분리벽이 월류수 제어방안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함.
- 연구결과 활용
- 1. 분류식 하수관거의 오염부하제어 방안에 기초자료 제공 및 방안제시
2. 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하수관거 정비사업에 우오수분리벽 설치가 확대되어 비점원오염물질 제어시설로서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
3. SSO에 대한 기초자료 조사 및 오염저감으로 인한 도시하천 수질오염방지